개인정보처리방침

02841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안암5가
고려대학교자연계 캠퍼스
공학관 204호(Prof.), 공학관 241호
(연구실)
대표전화 : 02.3290.3237(Prof.),
3671(연구실)

Copyrights (C)2016 Diana Lab.
ALL RIGHTS RESERVED

News

고려대 주병권 교수 연구팀, 기존 투명전극보다 19% 높은 에너지효율 구현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주병권 교수와 선문대학교 박영욱 교수 연구팀이 은 나노와이어보다 100배 이상 긴 은 파이버를 제작, 발광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유연투명전극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은 나노와이어는 단면의 지름이 나노미터 단위인 작은 선 형태의 은이 네트워크 구조를 이루고 있다. 기존 투명전극(ITO)은 유연하지 못한 반면, 은 나노와이어는 유연하면서도 ITO전극만큼 전도도와 투명도가 우수해 차세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조명기기를 구현할 유연투명전극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은 나노와이어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에 활용하기에는 나노선의 길이가 수십 마이크로미터(㎛)로 제한돼 전도도와 투명도 향상에 제약이 있고, 나노선들의 접합으로 인해 표면거칠기가 증가해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전기방사공정을 이용해 길이가 수 센티미터(㎝)에 달하고 접합이 없는 은 파이버 전극을 개발, 전도도와 투명도,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냈다.
(사진1) 은 파이버 전극 제조 공정도.[제공=한국연구재단]

전기방사공정은 전기장으로 고분자 용액을 분사하여 파이버 형태로 제조하는 방식이다. 공정이 간편하고 넓은 면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및 조명용 대형 OLED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은 파이버의 두께와 밀도 조절을 통해 전도도와 투명도를 극대화했고, 그 결과 ITO를 이용한 OLED보다 19% 더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확인했다. 
(사진2)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교수.[제공=한국연구재단]

주병권 교수는 “이 연구는 은 나노와이어의 한계를 극복한 은 파이버 전극을 개발해 OLED에 도입한 최초의 사례”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및 조명 시장에 핵심 기술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스몰’ 12월 28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번호 제목 조회 수
219 국내 연구팀, 친환경 광트랜지스터 개발 352
218 `자연 분해` 친환경 광트랜지스터 개발 2658
217 독성 걱정 없는 나무성분 반도체 소자 개발 3251
216 고려대 주병권 교수팀, 유연하고 투명한 친환경 광트랜지스터 개발 6978
215 유연·투명·자연분해 ‘삼박자’ 광트랜지스터 개발 257
214 유연하고 투명한 무독성·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6702
213 유연하고 투명한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 165
212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 157
211 고려대/뉴욕주립대/KIST 공동연구팀, 유연하고 투명한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 369
210 썩는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환경오염 문제 해결 17603
209 주병권 고려대 교수 "나무 성분으로 트랜지스터 만들었죠" 5239
208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 204
207 유연하고 투명한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 3858
206 유연하고 투명한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 6910
205 주병권 교수, 휘어지면서도 투명하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저항변화메모리 구현 20447
204 기존 소재보다 100배 긴 '은 파이버' 전극 개발 501
203 '은 파이버' 전극 개발…기존 소재보다 100배 길어 858
202 나노와이어 한계 넘은 '은파이버' 투명전극 개발…OLED 효율↑ 10420
201 투명하고 유연한 ‘은 섬유’ 전극으로 OLED 효율 19% 높였다 4784
» 발광효율 획기적 향상…OLED용 유연투명전극 개발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