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처리방침

02841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안암5가
고려대학교자연계 캠퍼스
공학관 204호(Prof.), 공학관 241호
(연구실)
대표전화 : 02.3290.3237(Prof.),
3671(연구실)

Copyrights (C)2016 Diana Lab.
ALL RIGHTS RESERVED

News

기존의 유기태양전지 단점을 보완한 고효율 유기태양전지가 국내 대학 공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주병권 고대 교수와 김동하 이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규칙적인 은나노닷(나노 크기의 요철을 가지는 은 재질의 모양)의 플라즈모닉 구조를 도입한 고효율 유기태양전지를 공동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유기태양전지는 고분자 유기물 기반으로 제작된 태양전지로 저렴한 비용과 가볍고 간단한 제조 과정, 유연성 등의 이점으로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층이 수십 나노미터 수준으로 매우 얇아 광전 변환 효율이 낮아서 그동안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유기태양전지의 낮은 전류밀도와 광 흡수도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한 플라즈모닉 효과를 활용해 유기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시켰다. 기존의 낮은 태양전지 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규칙적(주기적)인 은 나노 닷(나노 사이즈의 요철을 가지는 은(Ag) 재질의 모양)의 플라즈모닉 구조를 도입한 고효율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플라즈모닉은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며 강한 전기장을 생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존 유기태양전지에 도입되는 플라즈모닉 구조체는 불규칙적인 나노입자를 많이 사용했으나 불규칙적인 나노입자는 임의로 분포되는 특성상 제어가 힘들고, 복잡한 공정과정이 요구되는 등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 공정법을 사용해 배열이 규칙적이고 공정 오차가 적은 나노 크기의 플라즈모닉 구조체를 제작했으며, 이렇게 제작된 은 나노닷을 유기태양전지에 도입해 은 나노닷의 공명 파장과 광 활성층의 흡수파장이 일치하도록 디자인해 광 활성층의 빛 흡수를 극대화했다. 

주병권 고대 교수는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 기반 플라즈모닉 구조체의 공정 방법은 유기태양전지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어플리케이션에서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하 이대 교수는 “플라즈모닉 현상이 유기태양전지에 미치는 세 가지 메커니즘을 규명한 논문”이며, “향후 플라즈모닉 기반 유기 전자소자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에이씨에스(ACS Nano)’에 지난 3일 게재됐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번호 제목 조회 수
259 고려대, 박물관과 함께하는 대중 융합강연회 운영 40288
258 국내연구진, 레이저간섭 이용 보조전극 소형화 성공 38889
257 디스플레이 전문가 총출동... 미래 발전방안 모색 25658
256 "권재홍씨 장학금 받아" 25593
255 고려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 2차년도 교류회 개최 (센터장 주병권 교수) 22279
254 주병권 교수, 휘어지면서도 투명하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저항변화메모리 구현 20451
253 과학 기술인 신년 인사회 주제 영상 (DIANA 연구실) 19277
252 썩는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환경오염 문제 해결 17604
251 "권재홍 학생 (주병권 교수 연구실), 2009년 독일 아헨 공대 학술 연구 프로그램 선정" 16772
250 中 거센 추격에 韓 디스플레이 왕좌 수성 위기 16523
249 고려대-경남과기대 공동연구팀, 고순도 그래핀 기반의 차세대 리튬이차전지 개발 14797
248 "국가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산 경험" 14595
247 Transparent flexible memory makes clear progress 14424
246 삼성 SMD - 고려대 OLED 연구센터 설립 (센터장 : 주병권 교수) file 13601
245 투명 디스플레이 스위치 소자 안정화 기술 개발 12300
244 나노미터 크기로 축소된 디스플레이 보조전극 개발 11772
243 공학과 인문학의 만남, 대중 융합 강연을 열다 11147
242 폴더블폰은 성공할 수 있을까…기술적 난관 극복이 관건 11076
241 고려대 공과대학, ’우리 유산에 새겨진 첨단 미래‘ 주제로 대중강연회 개최 11017
240 국내 연구진, 유연한 고감도 유.무기 이종접합 광센서 개발 1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