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처리방침

02841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안암5가
고려대학교자연계 캠퍼스
공학관 204호(Prof.), 공학관 241호
(연구실)
대표전화 : 02.3290.3237(Prof.),
3671(연구실)

Copyrights (C)2016 Diana Lab.
ALL RIGHTS RESERVED

News

고려대 주병권 교수, 광산업진흥회와 함께 OLED 조명 교육 진행

차세대 조명으로 불리는 OLED 조명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적인 과제가 있을까.

고려대학교 디스플레이 및 나노시스템 연구실(교수 주병권)은 11일, 한국광산업진흥회(KAPID)와 함께 진행한 ‘OLED 조명 이론 교육’을 통해, OLED 조명 기초에서 기술적 이슈까지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OLED 조명은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OLED의 특성을 조명으로 활용한 것으로, 빛을 내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얇고 가벼운 특징이 있다. 특히 외부 충격에 강해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낮은 효율성과 수명, 비싼 가격이 상업화의 장애가 되고 있다. 
 

Flexible OLED, LG OLED Light 참조
 
이에 교육 세미나를 주관한 고려대학교의 주병권 교수는 “OLED는 아직 LED 효율의 절반에 못 미치며 가격은 높고 수명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LED 기술은 한계에 도달한 반면에 OLED는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큰 기술”이라며, "아무래도 LED가 많이 쓰이는 주조명 시장으로 바로 들어가기는 무리이고 우선, OLED의 플렉서빌리티 특성으로 장식용 디스플레이 같은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고 최근의 전략을 소개했다.  

이날 교육은 OLED 조명기술 동향과 봉지 기술, OLED 조명의 구조 및 설비 등을 설명하는 시간에 이어 조명용 OLED의 주요 이슈인 패널의 광 추출 기술, 수명 기술, 투명전극 및 공정 분석기술 주제 등이 소개되어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11일 고려대 자연계캠퍼스 창의관에서 열린 OLED 조명 이론 교육. 주병권 고려대 교수(아래)가 OLED 조명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OLED 조명의 기술적 이슈에 대해 주 교수는 “디자인은 우수하나 CRI (Color Rendering Index, 연색성)가 조금 못 미치고 효율과 수명이 아직 기대에 못 미친다. 특히 습기와 산소에 약한 OLED의 특성상, 야외 조명에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력한 봉지(encapsulation) 기술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OLED 수명을 저하시키는 기술적 이슈로 OLED 동작 후 발생하는 열(Heating)에 의한 원인과 빛(Light)에 의한 손상, 그리고 길어지는 소자 제작기간(Device Preparation)에 따른 오염 등을 최신 논문 사례를 들어 소개했다. 
 

Flexible OLED, 삼성디스플레이 참조
 
향후 OLED 조명 발전을 위해 주 교수는 “OLED 봉지기술이 기존 글래스나 메탈 캔(Metal can) 봉지 기술에서 박막 봉지(Thin film encap) 기술로 발전해야 하며, 플라스틱 OLED를 위해 봉지기술과 베리어 필름(Barrier film) 기술이 합쳐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행사를 함께 주관한 한국광산업진흥회의 김기수 과장은 “OLED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에 이어 개최한 이번 교육이 OLED 조명 기술 발전의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번호 제목 조회 수
259 고려대, 박물관과 함께하는 대중 융합강연회 운영 40280
258 국내연구진, 레이저간섭 이용 보조전극 소형화 성공 38868
257 디스플레이 전문가 총출동... 미래 발전방안 모색 25654
256 "권재홍씨 장학금 받아" 25592
255 고려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 2차년도 교류회 개최 (센터장 주병권 교수) 22274
254 주병권 교수, 휘어지면서도 투명하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저항변화메모리 구현 20449
253 과학 기술인 신년 인사회 주제 영상 (DIANA 연구실) 19276
252 썩는 유기 광트랜지스터 개발…환경오염 문제 해결 17603
251 "권재홍 학생 (주병권 교수 연구실), 2009년 독일 아헨 공대 학술 연구 프로그램 선정" 16768
250 中 거센 추격에 韓 디스플레이 왕좌 수성 위기 15877
249 고려대-경남과기대 공동연구팀, 고순도 그래핀 기반의 차세대 리튬이차전지 개발 14795
248 "국가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산 경험" 14592
247 Transparent flexible memory makes clear progress 14415
246 삼성 SMD - 고려대 OLED 연구센터 설립 (센터장 : 주병권 교수) file 13599
245 투명 디스플레이 스위치 소자 안정화 기술 개발 12298
244 나노미터 크기로 축소된 디스플레이 보조전극 개발 11770
243 공학과 인문학의 만남, 대중 융합 강연을 열다 11146
242 폴더블폰은 성공할 수 있을까…기술적 난관 극복이 관건 11066
241 고려대 공과대학, ’우리 유산에 새겨진 첨단 미래‘ 주제로 대중강연회 개최 11015
240 국내 연구진, 유연한 고감도 유.무기 이종접합 광센서 개발 10948